본문 바로가기

북한 과학기술 관련 글 모음(일반투고글)

북극성-2형 발사의 배경과 의미[2017.2.12] 북극성-2형 발사의 배경과 의미‘선제’ 도발보다는 ‘사후’ 대응 - 강호제 겨레하나 평화연구센터 소장북한과학기술연구센터 소장 올해 초, 필자는 북한의 2017년 신년사를 분석하면서 대륙간탄도로케트(ICBM)과 정지위성, 두 가지 모두 발사될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하였다.(과학기술을 제1순위로 배치한 배경과 북한 경제 전망 (2017.1.18 통일뉴스))당시 분석글에서 필자는 미국이 1) “핵위협, 공갈 하지말고” 2) “문전앞에서 년례적이라는 감투를 쓴 전쟁연습소동 하지 않으면”, 북한이 ICBM을 쏘지 않겠지만 그렇지 않다면 쏠 듯하다고 이야기하였다. 신년사가 발표된 뒤로 로동신문에는 3월 대규모, 연례적 군사 한미 합동군사훈련인 키리졸브 훈련이나 독수리 훈련을 ‘문전앞'에서 계속 진행한다면 전략 무기를.. 더보기
신년 공동사설에 등장한 CNC (겨레말사전-겨레말누리판(웹진)-겨레말 나들이-20101130) 대부분의 나라들처럼 최근 북한의 최대 관심사는 경제발전이다. 특히 1990년대 중반, 극심한 경제 침체 현상을 겪은 북한의 입장에서 빠른 경제성장을 위해 사활을 걸 수밖에 없다. 2012년을 기점으로 강성대국의 대문에 들어서겠다는 계획 속에서도 경제강국 건설이 최우선 과제로 제시되고 있다. 2000년 7월에 정식화된 ‘과학기술 중시사상’은 과학기술을 발전시켜 경제를 빠른 속도로 성장시키겠다는 강력한 의지의 표현이다. 실제로 북한이 표방하고 있는 경제발전 전략은 ‘국방공업을 앞세우고 경공업과 농업을 동시에 발전시킨다는 것’이다. 다른 부문보다 앞선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는 국방공업을 통해 경제발전을 꾀하겠다는 것이다. 그런데 북한과 과학기술을 연결시키면 많은 사람들이 낯설어한다. 이는 언론보도를 통해 나오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