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6-7)과학기술로 북한 읽기

4차 산업혁명과 북한

직업병의 일종인지, 

이런 이야기들을 들으면 '과학사'의 맥락과 함께, 

'북한'의 과학기술정책들이 떠오른다. 


과학의 발전과 사회, 나아가 문명의 발전과 어떤 연관성이 있을까?

사실 과학이 제대로 쓸모(?)를 갖기 시작한 것은 

짧으면 100여 년, 길어야 200여 년 밖에 안 된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런 과학, 기술의 발전이 우리 삶 전체를 바꿀 수 있다는 이야기가 

최근에 회자되고 있는 4차 산업혁명이란 말에 들어 있는 듯하다.


그런데, 이런 사회의 변화를 

북한에서는 1990년대 후반부터

꾸준히 탐구하고 있다. 

'세 새기 산업혁명'

이라는 말로 2011년 경에 정리되고 있는 건데,

가치법칙, 사회구성, 혁명의 주력군, 생산(경영) 방법, 계획화 방법 

등 사회 구성 대부분에서 혁명적 변화(이전과 질적으로 달라진 변화)를 준비하고 대비하자는 이야기였다. 

이런 전략적 변화를 탐구한 바탕 위에

김정은 시대의 각종 정책들이 추진되었는데


대표적인 것이 '교육 개혁'이다. 

원래도 북한에서는 문과/이과 구분이 없이 모두 수학/과학/기술 교육을 '많이' 받는데

나아가 성인교육, 재교육까지 '과학기술' 중심으로 진행하자는 취지였다. 

12년제 의무교육제, 전인민과학기술인재화

등의 정책이 이런 바탕위에 추진된 것이다. 


경제 부문에서도 많은 변화가 탐구되고 있는데, 

가치 생산의 법칙마저 바꾸고, 

컴퓨터를 경제 예측과 정책 구상, 집행 등에 광범위하게 도입하기 위한 준비도 들어 있다. (인공지능, 머신러닝 등과 비슷한 개념이 들어 있다)


최근 북한의 변화는 단순한 상황 대응 차원을 넘어, 

10여년의 탐구, 모색의 과정을 거친 다음에 나온

전략적인 대응이라는 것을 대부분 간과하고 있다. 

아마도 우리 사회가 혐북에서 벗어나게 된다면, 

4차 산업혁명 등과 관련한 연구를 위해 

북한 저작물을 참고하고 

북한 연구자에게 강연을 들어야 할 필요가 대두될 듯하다. 

북한도 역시 21세기를 살고 있는 현 시대 인류의 일원이니까.

언제까지 북한을 1990년대에만 사는 사람들로 무시할 수 있을까...



경향신문의 칼럼 

[미디어 세상]‘4차 산업혁명’ 구호는 버려야
를 보고 든 생각.


원문보기: